리그 오브 레전드(LoL)에서 자신의 실력을 가늠하는 가장 확실한 지표, 바로 랭크 티어입니다. 아이언부터 챌린저까지, 각 티어는 플레이어의 숙련도와 이해도를 나타내죠. 오늘은 2025년 4월 16일 최신 티어 분포와 함께 각 티어별 특징, 그리고 꿈에 그리던 상위 티어를 향해 나아가는 꿀팁들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LoL)의 랭크 티어는 플레이어의 실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아이언 (Iron) → 브론즈 (Bronze) → 실버 (Silver) → 골드 (Gold) → 플래티넘 (Platinum) → 에메랄드 (Emerald) → 다이아몬드 (Diamond) → 마스터 (Master) → 그랜드마스터 (Grandmaster) → 챌린저 (Challenger)
특히, 아이언부터 다이아몬드까지는 각 티어가 **4단계 (I ~ IV)**로 세분화되어 더욱 정밀하게 실력을 구분합니다. 반면, 마스터, 그랜드마스터, 챌린저는 단일 단계로 이루어져 진입 자체가 엄청난 실력의 증거라고 할 수 있습니다.
티어별 특징
- 아이언, 브론즈: LoL의 세계에 발을 들인 입문 단계입니다. 기본적인 게임 메커니즘 이해가 부족한 초보 유저들이 많으며, 팀워크보다는 개인 플레이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잦은 실수는 성장의 밑거름이 될 수 있습니다.
- 실버: 기본적인 게임 이해도는 갖췄지만, 아직 전략적인 플레이가 부족한 구간입니다. 게임 후반 운영이나 오브젝트 싸움에서 약점을 보이는 경우가 많으며, 많은 수의 유저들이 이 구간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 골드: 게임 메커니즘과 챔피언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지만, 팀워크 부족이나 순간적인 판단 실수로 인해 아쉽게 패배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골드 티어부터는 시즌 종료 시 특별한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플래티넘: 높은 수준의 개인 기량과 전략적인 사고를 가진 플레이어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완벽한 팀워크를 구축하지 못하거나 감정적인 플레이로 경기를 그르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에메랄드: 플래티넘과 다이아몬드 사이 새롭게 추가된 티어로, 높은 메타 이해도와 전략적인 움직임이 중요시됩니다. 숙련된 플레이어들이 치열한 경쟁을 펼치는 구간입니다.
- 다이아몬드: 뛰어난 기계적 실력과 전략적 사고를 겸비한 플레이어들이 모여 있습니다. 하지만, 사소한 개인 실수가 승패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더욱 집중력이 요구됩니다.
- 마스터: 최상위권 실력을 입증하는 티어입니다. 높은 수준의 기계적 스킬과 운영 능력을 바탕으로, 한타와 운영에서 거의 실수를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 그랜드마스터: 마스터와 챌린저 사이의 극소수 최상위 랭커들로 구성됩니다. 매 경기마다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며, 끊임없는 노력과 전략만이 살아남을 수 있는 구간입니다.
- 챌린저: LoL에서 가장 높은 티어로, 프로 선수급의 압도적인 실력을 지닌 플레이어들만이 도달할 수 있습니다. 모든 면에서 완벽에 가까운 플레이를 선보이며, 서버 내 상위 300명만이 챌린저 티어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티어 분포 (솔로 랭크 기준)
현재 자신의 티어가 전체 플레이어 중 어느 정도 위치에 있는지 궁금하신가요? 2025년 4월 16일 기준 솔로 랭크 티어 분포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해당 분포도는 참고용이며, 실제 게임 내 분포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솔큐
티어 | 랭크 | 랭크 % | 티어 % |
![]() |
챌린저 | 0.030% | 0.030% |
![]() |
그랜드마스터 | 0.071% | 0.071% |
![]() |
마스터 | 0.58% | 0.58% |
![]() |
다이아몬드 I | 0.46% | 2.7% |
다이아몬드 II | 0.48% | ||
다이아몬드 III | 0.52% | ||
다이아몬드 IV | 1.2% | ||
![]() |
에메랄드 I | 1.5% | 9.0% |
에메랄드 II | 1.4% | ||
에메랄드 III | 2.0% | ||
에메랄드 IV | 3.9% | ||
![]() |
플래티넘 I | 1.6% | 12% |
플래티넘 II | 2.4% | ||
플래티넘 III | 3.0% | ||
플래티넘 IV | 5.0% | ||
![]() |
골드 I | 2.3% | 17% |
골드 II | 3.6% | ||
골드 III | 4.4% | ||
골드 IV | 7.2% | ||
![]() |
실버 I | 3.3% | 19% |
실버 II | 4.5% | ||
실버 III | 4.9% | ||
실버 IV | 6.4% | ||
![]() |
브론즈 I | 3.5% | 19% |
브론즈 II | 4.7% | ||
브론즈 III | 5.0% | ||
브론즈 IV | 6.3% | ||
![]() |
아이언 I | 3.4% | 18% |
아이언 II | 4.7% | ||
아이언 III | 5.4% | ||
아이언 IV | 5.2% |
드래프트 랭크 플렉스
티어 | 랭크 | 랭크 % | 티어 % |
![]() |
챌린저 | 0.020% | 0.020% |
![]() |
그랜드마스터 | 0.033% | 0.033% |
![]() |
마스터 | 0.24% | 0.24% |
![]() |
다이아몬드 I | 0.41% | 3.0% |
다이아몬드 II | 0.49% | ||
다이아몬드 III | 0.68% | ||
다이아몬드 IV | 1.4% | ||
![]() |
에메랄드 I | 2.1% | 11% |
에메랄드 II | 2.1% | ||
에메랄드 III | 2.8% | ||
에메랄드 IV | 4.3% | ||
![]() |
플래티넘 I | 2.4% | 13% |
플래티넘 II | 3.3% | ||
플래티넘 III | 3.6% | ||
플래티넘 IV | 4.5% | ||
![]() |
골드 I | 2.7% | 17% |
골드 II | 4.2% | ||
골드 III | 4.7% | ||
골드 IV | 5.8% | ||
![]() |
실버 I | 3.7% | 19% |
실버 II | 4.8% | ||
실버 III | 5.1% | ||
실버 IV | 5.9% | ||
![]() |
브론즈 I | 3.8% | 17% |
브론즈 II | 4.4% | ||
브론즈 III | 4.3% | ||
브론즈 IV | 4.8% | ||
![]() |
아이언 I | 3.3% | 16% |
아이언 II | 4.5% | ||
아이언 III | 4.8% | ||
아이언 IV | 3.5% |
티어 올리는 방법
더 높은 티어로 도약하고 싶으신가요? 꾸준한 노력과 전략적인 플레이만이 승리의 열쇠입니다. 다음은 티어를 올리는 데 도움이 되는 핵심적인 방법들입니다.
- 주 포지션 및 챔피언 연습: 자신이 가장 잘하고 좋아하는 포지션을 정하고, 해당 포지션에서 숙련도를 높이는 것이 티어 상승의 가장 기본적인 토대입니다.
- 메타 챔피언 활용: 현재 시즌에서 강력한 성능을 보이는 메타 챔피언을 파악하고 연습하여 숙련도를 높이면 승리 확률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 팀워크: 솔로 랭크이지만 결국 팀 게임입니다. 팀원과의 소통을 활발히 하고, 오브젝트 컨트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팀 승리에 기여해야 합니다.
- 멘탈 관리: 랭크 게임은 경쟁적인 환경이므로 스트레스를 받기 쉽습니다.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팀원과의 불화를 피하며, 필요하다면 채팅을 차단하여 멘탈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라인 관리: 효율적인 라인 관리를 통해 안정적으로 **CS (미니언 막타)**를 챙기고, 유리한 타이밍에 로밍이나 합류를 통해 팀에 기여해야 합니다.
- 미니맵 확인: 끊임없이 미니맵을 확인하여 적의 위치를 파악하고, 갱킹이나 로밍에 대비하는 습관을 길러야 합니다.
- 전적 검색 및 닷지 활용: 게임 시작 전 팀원의 전적을 확인하여 지나치게 승률이 낮거나 특정 포지션 숙련도가 낮은 플레이어가 있다면, 닷지를 활용하여 패배를 미리 방지하는 것도 하나의 전략입니다.
- 자신의 플레이 복기: 자신의 플레이를 녹화하거나 다시 보면서 잘못된 점이나 개선해야 할 부분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다음 게임에 반영해야 합니다.
- 고수 플레이 시청: 프로 선수나 상위 티어 유저의 플레이를 시청하며, 그들의 전략, 운영, 챔피언 활용법 등을 배우는 것은 실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MMR 관리: MMR (Match Making Rating)은 숨겨진 실력 지표로, MMR이 높을수록 승리 시 더 많은 LP를 얻고 패배 시 더 적은 LP를 잃게 됩니다. 연승을 통해 MMR을 높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MMR 확인 사이트를 활용하여 자신의 MMR 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습니다.
- OP.GG 활용: OP.GG와 같은 사이트를 활용하여 메타 챔피언, 챔피언별 승률/픽률, 아이템 빌드, 스킬 트리 등 다양한 게임 정보를 참고하여 자신의 플레이에 적용해 보세요.
랭크 게임은 무엇보다 즐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스트레스를 너무 많이 받지 않고, 꾸준히 노력한다면 분명 원하는 티어에 도달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럼 오늘 포스팅은 여기까지 하도록 하겠습니다!

'크롱다다의 게임이야기 > LOL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롤 닉네임 변경 방법 (2025년 최신) (0) | 2025.04.02 |
---|---|
2025 LCK 정규시즌, 드디어 시작! 전설을 쓰러 뜨릴 팀은?! (0) | 2025.03.28 |
2025 롤 우르프(URF) 모드 기간 및 추천 챔피언 (0) | 2025.01.17 |
2025 롤챔스 스프링 경기 일정 티켓 예매 관전포인트 (0) | 2025.01.17 |
롤 14 시즌 스플릿 2 메타 변화 (0) | 2024.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