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LCK 리그에 큰 변화가 찾아옵니다. 전통적인 스프링과 서머 시즌 구분에서 벗어나 단일 시즌제로 전환되고, 새로운 국제 대회와 피어리스 드래프트 도입 등 여러 가지 요소가 추가되었습니다. LCK는 이제 MSI와 월드 챔피언십 외에 3월에 열리는 새로운 국제 대회를 포함한 총 3개의 글로벌 분기점을 가지며, 리그의 경쟁성과 팬들의 관심도를 극대화할 예정입니다.
2025년 1월부터는 새로운 대회인 "LCK 컵"(가칭)이 개최되며, 이 대회는 신설된 국제 대회에 출전할 LCK 대표팀을 가리는 중요한 자리로 자리 잡습니다. 이 대회에서는 기존 리그 방식과 차별화를 둔 ‘피어리스 드래프트’가 도입되며, 이전 세트에서 선택한 챔피언을 다음 세트에서 금지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이는 다양한 챔피언 조합을 유도해 경기의 다양성을 높이고, 팬들에게 새로운 전략적 재미를 선사할 것입니다.
LCK 정규 시즌 또한 큰 변화를 맞이합니다. 기존에는 스프링과 서머로 나뉘어 각각 우승팀을 선발했으나, 이제는 단일 시즌제로 통합되어 시즌 전체에서 최종 챔피언이 탄생합니다. 1, 2라운드는 기존과 같은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9주간 진행되며, 상위 6개 팀이 MSI 선발전에 진출합니다. MSI 선발전은 1, 2위 팀이 맞붙어 승리한 팀이 1번 시드를 가져가고, ‘킹 오브 더 힐’ 방식으로 남은 한 팀이 결정됩니다. 킹 오브 더 힐 방식에서는 5위와 6위 팀이 먼저 경기를 시작하고, 승리한 팀이 계속 상위 팀들과 대결을 이어나갑니다.
MSI 이후 정규 시즌은 더욱 특별한 구조를 갖게 됩니다. 상위 5개 팀은 ‘레전드 그룹’, 하위 5개 팀은 ‘라이즈 그룹’으로 나뉘어 3, 4, 5라운드를 진행하게 되며, 각 그룹 내에서 세 번의 3전 2선승제 맞대결을 치릅니다. 이러한 방식은 각 팀의 실력에 맞는 매치업을 유도하고 시즌 후반의 긴장감을 더욱 높여 팬들의 몰입도를 한층 더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됩니다.
정규 시즌이 끝나면, LCK는 포스트 시즌에 돌입하며 플레이오프를 통해 최종 월드 챔피언십 진출팀을 결정하게 됩니다. 기존에는 별도로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이 열렸으나, 이제는 플레이오프 성적에 따라 월드 챔피언십 출전권이 부여됩니다. 플레이오프는 6개 팀이 참여하는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패배해도 한 번의 추가 기회가 주어지는 구조입니다. 최종 우승팀은 월드 챔피언십 1번 시드를 획득하며, 준우승팀은 2번 시드, 결승 진출전에서 탈락한 팀은 3번 시드를 부여받습니다. 또한, MSI 우승팀과 준우승팀에게도 월드 챔피언십 출전 기회가 주어지므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4위까지 출전 가능성을 갖게 됩니다.
'크롱다다의 게임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혼렙 어라이즈 0.5주년 기념 이벤트 리딤코드 (0) | 2024.10.30 |
---|---|
코어 키퍼 게임 공략 (0) | 2024.10.30 |
피크민 블룸 모종 얻는 방법 공략 (0) | 2024.10.29 |
동물타워배틀 게임 공략 (0) | 2024.10.29 |
냥코대전쟁 울슈레 티어 획득 방법 (0) | 2024.10.29 |